생활정보

보조배터리 이제 기내 반입 금지? 보조배터리 화재 사례, 반입 기준 용량 및 원인과 예방법

리시안셔스v 2025. 2. 1. 15:42

최근 에어부산 항공기의 화재 원인이 보조배터리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밝혀지고 있는 가운데, 보조배터리가 기내 반입 금지 물품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자세히 확인해 보겠습니다. 

 

 

보조배터리 기내 화재 사례 

기내 보조배터리 화재가 5년 새 12 건인만큼 위험이 굉장히 높습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인데요. 몇 가지 사례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 에어부산 BX142 김해공항에서 이륙준비 중 승객이 들고 있던 보조배터리에서 연기 발생 : 승무원 진압
  • 이스타 항공 ZE512편, 승객 소지 보조배터리 화재 
  • 아시아나항공 OZ8910 오버헤드빈에 있던 보조배터리 화재 

 

위 사례 모두 다 연기 및 그을음에 그쳐 큰 사고를 피했지만, 사고가 빈번한 만큼 각별히 주의해야겠습니다.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금지 검토 

사실 정부에서는 3년 전 특정국의 리튬 보조배터리의 항공기 반입을 금지하는 조치를 검토했었습니다. 비인가 보조배터리 운송이 빈번하다는 경고를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로부터 받았기 때문입니다. 

 

보조배터리를 합법적으로 운송하려면 유엔 검사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데 특정국 생산품에서 검사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사례가 나타난 바 있었습니다. 

 

제품이 소비자에게 넘어간 뒤에는 국가나 항공사가 안전성을 점검하기 어렵기 때문에 관련 조치들을 검토하였다가 통상 마찰 우려를 이유로 실행되지 못했으며 현재도 마찬가지입니다. 

 

 

현행 보조배터리 반입 기준 용량 

현재 보조배터리는 용량에 따라 기내 반입 여부가 결정됩니다. 개인당 휴대 가능한 보조배터리는 5개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00WH 이하 제품은 자유롭게 반입 가능 
  • 100~160WH는 항공사 허가를 받은 경우 반입 가능 
  • 160WH를 초과하면 반입금지 
  • 원칙적으로 보조배터리 위탁 수하물 금지 (탑승객 소지 원칙) 

 

비행기 탑승 시 본인과 타인의 안전을 위하여 위와 같은 규정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보조배터리 기내 화재 원인 및 예방법 

보조배터리 화재사고는 왜 나는 걸까요? 예방법은 무엇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리튬배터리는 딱딱한 물체에 부딪혀 충격을 받거나 눌리게 되면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기준치를 지키더라도 기내 선반에 배터리를 넣는 순간 안심할 수 없습니다. 다른 짐에 눌릴 수도 있고 배터리가 뜨거워져도 승객이 확인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승객이 직접 휴대해야 그나마 사고 가능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부득이하게 선반에 놓는 경우 외부에 노출된 단자를 절연성 테이프로 막는 것이 좋습니다. 

 

보조배터리를 비닐봉지에만 넣어도 외부로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고 합니다. 타지 않는 소재로 만들어진 별도의 주머니를 이용하시는 것이 화재를 예방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내 보조배터리 화재 사례 및 원인과 예방법, 현행 반입 가능 용량과 정부에서 검토하고 있는 기내 반입 금지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