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천엽1 소 생간 야토병 개회충 증상, 소 생간 효능, 예방 및 기생충 약 수원 곱창집에서 소 생간을 먹은 20대가 복통 등을 호소하는 등 야토병 증상을 보였다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소 생간의 기생충 위험성 때문에 판매를 중단했다고도 하는데 과연 야토병이 무엇인지 소 생간의 위험성과 먹어도 되는지 자세하게 확인해 보겠습니다. 야토병이란 야토병은 야생토끼를 비롯한 야생 설치류에게 물리거나 접촉하거나 감염된 음식이나 물을 먹고 마심으로써 감염됩니다. 프랜시셀라 튤라렌시스라는 균을 토끼나 다람쥐, 너구리, 개, 고양이에서 흡혈한 진드기, 모기 등이 옮기기도 합니다. 야토병은 전파력이 없으나 폐렴이나 혈액을 매개로 감염될 경우 치명률이 높다고 합니다. 국내에서는 1997년 포항에서 죽은 지 며칠 된 야생토끼 요리를 먹은 남자가 확진 판정을 받은 바 있는데 10여 일 만에 완치된.. 2024. 7.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