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정부세종청사에서 최저임금위원회 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주요 골자는 최저임금 금액인데요. 사용자(고용하는 입장)측과 노동차 양측의 입장이 팽팽합니다. 최근 5년간 최저임금 인상률과 현재까지 진행상황을 알아보겠습니다.
최저임금 상승률 (최근 5년), 최저시급, 최저임금 월급
구분 | 시급 | 월급 | 상승률 |
2025년 | 12,600원 | 2,633,620원 | 전년대비 27.8% 인상 요구 |
2024년 | 9,860원 | 2,060,740원 | 전년대비 2.5% 인상 |
2023년 | 9,620원 | 2,010,580원 | |
2022년 | 9,160원 | 1,914,440원 | |
2021년 | 8,720원 | 1,822,480원 | |
2020년 | 8,590원 | 1,795,310원 |
위 표를 보시면 5년간 최저시급은 꾸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노동자 측에서 제시한 1만 2천6백 원으로 인상된다면 전년대비 27.8% 인상되는 셈입니다.
2025년 최저임금 1만 원 시대 도래
노사 요구 최저임금 제시 금액은 1만 2천500원이며 사용자 측이 제시한 금액은 전년도 동결입니다. 기업 절반의 입장은 최저임금이 너무 높아 영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영난에 따른 지불능력 약화를 고려하여 동결하자는 것입니다.
반대로 노동자 측은 양보를 한다 하더라도 최저임금 1만 원은 사수해야 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정부는 최저임금을 확정하여 늦어도 8월 5일까지는 고시, 발표해야 하기 때문에 빠른 결정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다음 주 내 최저임금 액수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과연 최저임금 1만 원 시대가 도래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반응형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상임금 뜻, 통상임금 포함 수당(식대, 교통비, 상여금), 통상임금 찬반, 계산방법 (0) | 2024.12.23 |
---|---|
2025년 하위직 공무원 임금인상 발표 내용 공개 (가족수당, 시간외수당, 정근수당 인상) (0) | 2024.12.20 |
민주당 발의 양곡법 뜻 양곡법 찬반입장 양곡관리법 장단점 (0) | 2024.04.18 |
운전면허증 인터넷으로 분실신고, 재발급 하는 방법 (0) | 2024.04.16 |
늘봄학교 고학년 이용 가능 여부 및 시범학교 현황 확인 (0) | 2024.03.07 |
댓글